자동차지식 / / 2015. 12. 6. 12:00

[초보를 위한 안전운전요령] 야간운전,터널,진로변경,빗길,빙판길


안녕하세요. 

차다운차 손과장입니다!



오늘은 

다양한 상황에서 

안전운전을 위한 방법을 알아 보고자 합니다.



[ 관련글 ]


2015/11/28 - [차다운차] - 초보 운전자를 위한 운전의 기초.

2015/11/29 - [차다운차] - 안전운전을 위한 기본 상식 #1

2015/11/30 - [차다운차] - 안전운전을 위한 기본 상식 #2



1. 야간운전


a. 어두운 도로 운행시


야간에는 시야가 좁아질 뿐만 아니라, 

가로등이 없거나 어두운 도로 에서는 

오직 전조등이 비추는 범위가 

운전자의 시야의 전부 입니다.


안맞은편에 차량이 없다면 

전조등을 상향조정해 시야를 더욱 확보 할 수 있지만, 

만약 상향 (일명 쌍라이트) 을 켤수 없는 상황이라서 

하향으로 전조등으로 주행 할때는 

항상 서행하는 버릇을 익히셔야 합니다.


특히

보행자가 어두운 색의 옷을 입고 있거나 

커브길 상황에서는 

전방의 사물이 식별이 안될경우가 많기 때문에 

충분히 속도를 줄여 운행 하시기 바랍니다.



b. 야간 전조등 불빛


고갯길에서 

마주오는 자동차의 전조등 불빛 때문에 

잠깐 시력을 잃는 현상, 

또는 

직선도로에서 도로를 횡단중인 보행자가 

잠시 보이지 않는 현상이 있습니다.


이러한 순간적인 상황은 

몇초만에 돌이킬 수 없는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니, 

마주오는 자동차의 전조등을 

절대 정면으로 보지 말고 

침착하게 주변상황을 살펴야 합니다.


또한 

상대방도 이런상황을 똑같이 겪을수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전조등을 불법 개조 하거나 

상향등으로 다른 운전자를 방해 하지 않도록 합시다.


무엇보다 

나로인해 누군가가 큰 사고를 당하면, 

정신적인 충격으로 인하여 

죄책감등에 빠질 수 있기 때문이죠. 





2. 터널 통과


a. 터널에 들어가기 전에 

미리 전조등을 켜고 진입 합니다.


b. 터널에 진입하기 전에는 

속도를 미리 줄이고 갑자기 진로를 변경하지 않습니다.


c. 터널 입구에 표시된 

교통정보를 반드시 확인 합니다.


d. 터널 안에서는 

위험이 발생 했을때 피할 공간이 없기 때문에 

앞지르기나 진로변경을 하지 않도록 합니다.


e. 위험이 발생 했을때 

피할 공간이 없는 터널에서는 

연쇄추돌 사고가 빈번이 발생하니 

안전거리를 반드시 확보 합니다.


f. 비상시를 대비하여 

피난 연결통로, 비상 주차대, 소화기, 비상전화등의 

안전시설물을 확인해 둡니다.






3. 터널 안에서 화재 발생시 대처방법


a. 차량을 운행 할 수 있다면 

터널 밖으로 신속히 이동 합니다.


b. 차량이동이 불가능 할 경우 

최대한 갓길 쪽으로 차를 정차 합니다.


c. 엔진을 끄고 키를 꽂아둔 채로 

신속하게 터널을 빠져 나갑니다.


d. 비상벨을 눌러 화재 발생을 알립니다.


e. 비상전화를 이용해 

구조요청을 하거나 119에 신고 합니다.


f. 소화기나 소화전으로 조기 진화합니다.


g. 조기 진화가 불가능한 상황 에서는 

화재 연기를 피해 유도등을 따라 

신속히 터널 밖으로 빠져 나옵니다.





[ 도로 터널 안전설비 ]


- 터널에는 소화기(소화전)가 50m 간격으로, 

피난 연결 통로는 250~300m 내외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습니다.


- 각종 안전설비는 터널의 길이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4. 진로변경


a. 뒤차의 속도가 예상보다 빠를수 있으므로, 

후사경 뿐만 아니라 직접 고개를 돌려 확인하고 

진로 변경을 하도록 합니다.


b. 뒷차가 빠르지 않다고 판단 되더라도, 

상대가 갑자기 속도를 높여 진로변경을 방해 하는 등의 

돌발상황을 항상 예상하고 있어야 합니다.


c. 뒤에 차가 없다고 해서 갑자기 진로변경을 하다, 

사각지대에서 보이지 않던 차량이 갑자기 나타날수 있습니다. 


d. 진로변경을 할 때에는 

충분한 거리와 시간을 두고 실행 하도록 합시다.


e. 진로변경중, 갑자기 앞차가 급정거를 할수 있기 때문에 

앞차와의 안전거리를 충분히 확보하면서 진로변경을 하도록 합니다.






5. 빗길, 눈길, 빙판길 운전


a. 수막현상에 대비


- 수막현상은 노면에 물이 고인상태에서 과속을 하면 

수상 스키를 타는 원리와 같은 현상입니다.


- 이때는 핸들과 브레이크 조작이 불가능 할 수 있으니, 

물이 고여있는 곳을 통과 할 때는 속도를 낮추어 운행 하도록 합시다.


- 수막현상이 한쪽바퀴 에서만 발생할 수 있는데 

이때 급제동을 하게 되면 전혀 다른방향으로 미끄러져 

더 큰 위험에 빠질수 있습니다.


- 빗길에서는 급제동을 하지 않도록 

충분히 안전거리를 유지 하도록 합시다.






b. 체인장착


- 겨울철 눈길과 빙판길에서는 

가급적 타이어에 체인을 감아주어 

노면과 마찰력을 높여 줍니다.


- 다리위나 그늘진 도로는 

부분적으로 결빙되기 쉬운 곳 입니다. 


- 눈이 내리기 시작 할때는 

눈 밑에 얼음이 얼었을경우 특히 위험하니 

주의 하도록 합시다.


- 눈길이나 빙판길 에서는 2단으로 천천히 출발하고, 

결빙된 도로를 지날때는 가급적 

핸들과 브레이크, 가속페달을 조작하지 않도록 

서서히 운행 합니다.


- 반대편 차가 미끄러져 중앙선을 넘어올수 있으니 

주변 차량과 충분한 간격을 유지합니다.






관련글


2015/12/01 - [오늘의 자동차이야기] - 안전운전을 위한 기본 상식 #3 교차로 통행방법,유턴과 피턴

2015/12/02 - [오늘의 일상] - 안전운행을 위한 기본상식#4 스쿨존,자동차 규제사항

2015/12/04 - [오늘의 일상] - 사고방지를 위한 예측운전

2015/12/05 - [오늘의 일상] - 안전운전을 위한 통행법-교차로,고속도로,이면도로 운행법




도움이 되셨나요? ^^

이상, 차다운차 손과장였습니다! ★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